몇 년전부터 부어왔던 적금이 만기가 돼서 돈을 찾아 새로운 투자를 할겸 해서 은행에 다녀왔는데요

시중금리가 1%대로 내려 앉으면서 여러 가지 생각들이 많이 들더라구요. 안정성을 따져 그냥 은행적금으로 묶어두자니 금리가 성에 안차고 그렇다고 주식을 하는 성향도, 또 부동산을 할 만큼의 돈도 아니라서요.

 

 

 

은행창구에서 상담직원에게 다양한 저금리시대 재테크 방법에 대해 듣고 제 나름대로 다시한번 알아보았습니다.

한국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신규취급 정기예금 금리(1)는 이미 3월부터 1.9%로 접어들어 1%대로 진입했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저금리시대에 투자를 통한 돈모으기는 더더욱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일부에서는 해외투자·분산투자·장기투자를 저금리 시대를 이겨낼 최고의 방법으로 손꼽지만 일반인들 입장에서 이것들을 실행에 옮기기란 쉽지 않습니다.

전문가들이 말하는 저금리 뛰어넘기 재테크 방법은 중국 1등주 투자, 트렌드에 기반한 주식투자,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 지수형 주가연계증권(ELS), 상장지수펀드(ETF) 등으로 다양한 방법들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곧 투자를 단순하게 하되 복잡한 전략은 전문가에 의해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미일수도 있습니다.

저금리시대 재테크방법, 고령화시대의 재테크방법은 3 3 4에 비유해서 권하고 있습니다.

현금과 채권등의 자산 30%

부동산에 30%

주식 40% 로 투자하되 가장 비중이 높은 주식에서도 다시 3 3 4 비율을 적용하라고 말합니다.

즉 안정성 30% 성장성 30% 수익성에 40%로 배분하여 투자하라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3 3 4 비율은 자산배분과 투자성향에 다양하게 접목할수 있는 재테크 황금비율이라고 합니다.

저금리시대 투자 지역에 대한 의견들도 다양합니다.

정보를 쉽게 접할수 있고 잘 알수있는 국내시장에 대한 투자, 맞바람을 탄 해외시장에 대한 투자 어느 것이 정답이라고 꼭 집어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예금 금리가 1%대로 돌아서며 다시 해외 주식형 펀드에 자금이 흐르고 있다는 소식은 그냥 흘려보낼 뉴스는 아닌 듯 합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아시아의 강국 중국을 다시 눈여겨 보는데요

1990년부터 2013년까지 코스피의 내수소비 1등주들의 주가 추이를 지수와 비교하면 이들 기업은 시장을 큰 격차로 따돌렸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런 이론을 중국 주식에 대입했을 때 중국 내수소비 1등주에 장기 투자해 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을 조언하기도 합니다.

금융개혁이 일어나고 자본시장이 확대되는 중국에서 한국과 같은 바람이 불거라는 의미지요.

또 한편에서는 다양한 자산과 지수, 지역으로 구성한 상장지수펀드가 투자성향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구성의 가능성을 말하며 은퇴세대들에게는 배당상장지수펀드와 채권상장지수펀드로 안정된수익을 추구하고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는 레버리지상장지수펀드로 공격적인 투자를 할 것을 권합니다.

이런 전문적인 용어들을 듣노라면 더더욱 재무설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는데요

은행에 돈을 넣어놓고 예금이자만을 바랄수 없는 시기이기에 복합적인 금융상품의 큰 물결속에서 이를 대비하고 알아가야 하겠습니다.

저처럼 너무 많지도 않은 돈이기에 부동산에 투자하기도 그렇다고 그냥 가지고 있기에도 애매한 자금들이 있는 분들이 꽤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몇 년전에 펀드로 재미본 분들도 계시겠지만 전 그 축에 못 끼었었기에 섣부른 펀드투자는 하고 싶지 않지만 저금리시대 재테크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것인가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모아니면 도...

좀 더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재테크 정보 알아보셔서 현명하게 자금 운용하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